▶ Contents #
– 페일오버 테스트 진행 가이드 입니다.
– Application / Network / Server 페일오버 순으로 진행하겠습니다.
▶ Step-by-step-guide #
1. Application 페일오버 #
① 콘솔상단에서 양 서버 노드 상태 확인
※ MCCS에 리소스로 등록된 응용 프로그램(프로세스 / 서비스 등)의 종료 상태를 의미

– 운영서버 : Color / 대기서버 : 흑백
② 페일오버 테스트용 프로그램 강제종료

③ 강제 종료된 리소스에 장애 표시 발생
– 장애 상태 진행 후 의존성 관계에 따라 리소스 오프라인 후 페일오버 진행

④ 자동 페일오버 수행 완료
– 운영 서버에서 대기서버로 리소스가 페일오버 된 상태 확인

⑤ 장애표시 제거 진행
– 기존에 장애가 놨던 서버에서 장애 원인 파악 및 동일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 후 진행
2. Network 페일오버 #
① 콘솔상단에서 양 서버 노드 상태 확인
※ MCCS에 등록된 네트워크 카드 및 네트워크 주소의 장애 상태를 의미

– 운영서버 : Color / 대기서버 : 흑백
② 페일오버 테스트로 운영서버 네트워크카드 사용 중지

③ 강제 종료된 리소스에 장애 표시 발생
– 장애 상태 진행 후 의존성 관계에 따라 리소스 오프라인 후 페일오버 진행

④ 자동 페일오버 수행 완료
– 운영 서버에서 대기서버로 리소스가 페일오버 된 상태 확인

⑤ 장애표시 제거 진행
– 기존에 장애가 놨던 서버에서 장애 원인 파악 및 동일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 후 진행(네트워크 정상화 시 자동으로 장애표지 제거됨)
3. Server 페일오버 #
① 콘솔상단에서 양 서버 노드 상태 확인
※ MCCS는 핫빗 패킷 수신여부와 ICMP 확인을 통해 노드의 상태를 감시하고 해당 장애 감지 시 대기 노드로 자동 페일오버 수행

– 운영서버 : Color / 대기서버 : 흑백
② 페일오버 테스트로 운영서버 강제 종료 수행
③ 강제 종료된 리소스에 장애 표시 발생
– 장애 상태 진행 후 의존성 관계에 따라 리소스 오프라인 후 페일오버 진행

④ 자동 페일오버 수행 완료
– 운영 서버에서 대기서버로 리소스가 페일오버 된 상태 확인

⑤ 장애표시 제거 진행
– 서버 장애시, 수동으로 장애표시 제거 하지 못함
– 서버 정상화 시 별도 추가 동작 필요없이 자동으로 장애 표시 제거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