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미러디스크 구성변경 가이드(Windows)

▶ Contents #

– 미러 디스크 구성변경 가이드입니다.

– 미러IP변경 / 미러 디스크 사이즈 증설 환경변경 순으로 진행하겠습니다.

▶ Precheck #

– 미러디스크 리소스에 적용된 미러 IP 확인합니다.


– 현재 설정 되어있는 복제용 IP주소 확인합니다. (Active Server : 200.200.112.106) 


– 현재 설정 되어있는 복제용 IP주소 확인합니다. (Standby Server : 200.200.112.107)



▶ Step-by-step-guide
#

1. 미러IP 변경 시 설정 #

① 양 서버 MCCS-Agent 중지 (MCCS 가 중지되어도 운영중인 서비스에 영향 X)

Active 서버 (10.20.112.106)Standby 서버 (10.20.112.107)


② 현재 미러 상태를 확인 drbdadm status <리소스파일명(ex. r0)>

Active 서버 (10.20.112.106)Standby 서버 (10.20.112.107)


 ③ 서버에 설정된 미러IP 변경

서버기존 IP변경 IP
Active-Server200.200.112.106200.200.113.106
Standby-Server200.200.112.107200.200.113.107
Active 서버 (10.20.112.106)Standby 서버 (10.20.112.107)


④ 양서버 변경된 IP 적용을 위한 Config file 수정

 양 서버(Active/Standby)에서 기존 IP 부분을 변경할 IP로 수정 후 저장

▶ C:\Program Files\MCCS\config\hb.json 파일 변경


▶C:\Program Files\MCCS\config\main.json 파일 변경


▶ C:\Program Files\drbd\etc\drbd.d\r0.res 파일 변경


⑤ 수정된 file 적용 명령어 수행

– 명령어 : drbdadm adjust <리소스 파일명(ex.r0)>

Active 서버 (10.20.112.106)Standby 서버 (10.20.112.107)


⑥ 양서버 Mccs Agent 서비스 실행

Active 서버 (10.20.112.106)Standby 서버 (10.20.112.107)
  


⑦ 적용된 변경 미러 IP 확인

2. 미러 디스크 사이즈 증설 #

① MCCS 리소스 그룹 종료

※ 이중화 등록된 복제 볼륨은 사이즈 조정 기능 제공X, 기존 미러 삭제 후 재구성 필요

– 리소스 그룹 →  종료 → 활성화된 노드 선택


– Active 서버 리소스가 비활성화 된 상태 확인


② 미러 리소스 삭제 진행

– 미러 리소스(Mirror_F) 우 클릭 → 리소스 삭제 클릭


③ 디스크 증설 진행

– 양서버 삭제한 미러 대상 디스크 접근 여부 확인

Active 서버 (10.20.112.106)Standby 서버 (10.20.112.107)


– 미러 디스크 증설 진행 (증설된 디스크 사이즈는 양서버가 동일해야 함)


– 증설된 용량의 크기가 같거나 Standby 쪽이 더 큰지 확인

Active 서버 (10.20.112.106)Standby 서버 (10.20.112.107)


④ 미러 디스크 리소스 생성

– MCCS 콘솔 접속 / 리소스 그룹이름 우 클릭 미러디스크 추가메뉴 선택

※ 리소스 그룹명은 보통 “이름_RG” 형태로 생성 되어있습니다.

– 미러디스크 (미러디스크 복제볼륨) 리소스 선택 후 Next 클릭

– 미러디스크 리소스 추가 설정값 선택 완료 후 Finish 버튼을 클릭합니다.

옵션명설명
리소스 이름  등록하고자 하는 리소스 명을 입력
미러볼륨  미러 대상 볼륨 선택
소스 서버  원본 소스 서버 선택
미러IP  설정한 미러 IP 선택
미러 포트  미러 포트를 확인(기본:7788)
프로토콜  복제 프로토콜 동기 모드 선택

※ 미러생성시, Target 서버의 데이터는 초기화 됨(사전 데이터 확인 필요)


– 생성된 미러 디스크 리소스 확인


– 기존 생성된 리소스 와 의존성 생성

※ 의존성 생성 아이콘 클릭 → 상위 리소스 선택 → 드래그 및 하위 리소스 선택


– 해당 단계를 진행하면 리소스간 의존성 생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