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ntents #
– 리눅스 미러디스크 추가 가이드입니다.
– 사전설정 / 미러 디스크 리소스 추가 / 미러 디스크 구성확인 순으로 진행하겠습니다.
▶ Precheck #
– 양 서버 미러 대상 디스크 사이즈를 확인
Active 서버 (10.20.112.101) | Standby 서버 (10.20.112.102) |
![]() | ![]() |
※ Byte 단위 까지 동일하거나 Target이 될 서버가 크면 미러 구성 가능
– OS상에서 자동마운트 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etc/fstab에서 해당디스크 주석 처리
Active 서버 (10.20.112.101) | Standby 서버 (10.20.112.102) |
![]() | ![]() |
– 양 서버 미러 복제용 NIC, IP 확인
Active 서버 (200.200.200.101) |
![]() |
Standby 서버 (200.200.200.102) |
![]() |
– 양 서버에서 복제(DRBD) 서비스 실행상태 확인
Active 서버 (200.200.112.101) |
![]() |
Standby 서버 (200.200.112.102) |
![]() |
▶ Step-by-step-guide #
1. 미러디스크 리소스 추가 #
① MCCS 콘솔 접속 / 리소스 그룹이름 우 클릭 미러디스크 추가메뉴 선택

※ 리소스 그룹명은 보통 “이름_RG” 형태로 생성 되어있습니다.
② 미러디스크 (미러디스크 복제볼륨) 리소스 선택 후 Next 클릭

③ 미러디스크 리소스 추가 설정값 선택 완료 후 Finish 버튼을 클릭

옵션명 | 설명 |
리소스 이름 | 등록하고자 하는 리소스 명을 입력 |
미러볼륨 | 미러 대상 볼륨 선택 |
소스 서버 | 원본 소스 서버 선택 |
미러IP | 설정한 미러 IP 선택 |
미러 포트 | 미러 포트를 확인(기본:7788) |
※ 미러생성시, Target 서버의 데이터는 초기화 됨(사전 데이터 확인 필요)
– 미러 디스크 영역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Mount 리소스를 추가


옵션명 | 설명 |
리소스 이름 | 등록하고자 하는 리소스 명을 입력 |
파일시스템 | 마운트 대상 파일시스템 |
볼륨장치 파일위치 | drbd에서 제어하는 볼륨 포인트명(/dev/drbd0) |
마운트 지점 | 마운트 포인트 디렉토리 명 |
④ 추가한 마운트 리소스 온라인 진행


– 마운트 리소스 온라인 상태 확인

2. 미러디스크 구성확인 #
① cmd 명령을 통하여 서버 별 미러 상태를 확인
– 상태확인 명령어 : drbdadm status
Active 서버 (10.20.112.101) / Primary 상태 |
![]() |
Standby 서버 (10.20.112.102) / Secondary 상태 |
![]() |
② 미러 대상 마운트 포인트 접근가능여부 확인(/data)
– 운영 서버만 /data 접근 가능(데이터 정합성을 위해 Standby 서버는 액세스 불가)
Active 서버 (10.20.112.101) / Primary 상태 |
![]() |
Standby 서버 (10.20.112.102) / Secondary 상태 |
![]() |
3. 미러디스크 수동페일오버 #
① Standby 서버로 리소스를 페일오버 테스트 진행
– 리소스 그룹 우클릭 → 그룹 수동 페일오버 → Standby-Server 선택


② Standby 서버쪽으로 리소스 활성화 상태 확인 가능

③ 페일오버 이후 변경된 미러 영역 상태 확인
Active 서버 (10.20.112.101) / Secondary 상태 |
![]() |
Standby 서버 (10.20.112.102) / Primary 상태 |
![]() |
– Standby 서버로 페일오버 되었기 때문에 Standby 서버의 미러 영역(/data)이 활성화 됨
Active 서버 (10.20.112.101) / Primary 상태 |
![]() |
Standby 서버 (10.20.112.102) / Secondary 상태 |
![]() |